순간의 선택으로 만나게 되는 새로운 세계. 배우 윤시윤과 경수진이 그렇게 만났다.
폐역의 낡은 기찻길 위에 두 세계가 공존한다. 살인 사건이 일어난 12년 전 어느 날 밤, 순간의 선택으로 갈라진 두 세계에서 주인공 ‘서경’(경수진)과 ‘도원’(윤시윤)은 완전히 상반된 삶 속에서 다른 방식으로 숨겨진 진실을 파헤친다. 이들이 마주한 사건 역시 평행 세계를 넘나들며 각각 다른 국면을 맞는다. 매 순간의 선택으로 세계(삶)가 바뀌고, 머무는 세계 건너에 또 다른 세계가 존재하는 것. 어쩌면 판타지가 아닐지도 모를 드라마 <트레인>의 이야기.
장르물, 평행 세계, 1인 2역 등 드라마 <트레인>은 보는 사람에 따라 흥미를 느낄 지점이 다른 작품이에요. 연기하는 배우로서 느낀 흥미는 무엇인가요? 윤시윤 1, 2부를 본 사람은 알 텐데 초반에는 일반적인 형사물의 플롯을 따라가요. 그러다 결정적인 사건을 마주하고 이를 뒤쫓는 과정에서 평행 세계가 등장하고요. 자칫 복잡해 보일 수 있는 세계관에 대한 이야기를 쉽게 시작하죠. 연기하는 배우로서도, 보는 사람들도 판타지로 자연스럽게 넘어가게 만드는 흐름이 좋았어요. 경수진 복잡하지만 극을 잘 끌어가고 전개가 재미있다는 점이 이 작품을 선택한 가장 큰 이유예요. 또 제가 맡은 서경이라는 인물이 유독 감정 신이 많은 데, 한편으로 부담이 되면서도 배우로서 해보고 싶은 생각이 들었어요.
흥미를 가진 지점이 반대로 연기하기에 어려운 점이 되기도 했을 텐데요. 경수진 두 세계를 A와 B로 나누는데, 이 중 B 세계의 서경(이하 B 서경)의 감정을 표현하는 게 어려워요. 아빠를 죽인 범인에 대한 증오와 복수심으로 가득 찬 상태라 굉장히 어둡고 감정이 메말라 있어요. 이 캐릭터의 감정을 어느 정도까지 표현할 수 있을지 고민을 많이 했어요. 윤시윤 소재가 흥미롭기도 하고 복잡한 실타래를 풀어가는 게 재미 중 하나지만, 이 작품의 치명적인 단점이라고 하면 중간 유입이 어렵다는 거예요. 중간부터 보는 사람은 ‘쟤는 누구고, 저긴 어딘가’ 싶은 거죠. 그래서 유치하고 뻔할지언정 친절하게 연기해야 했어요. 이를테면 서경이를 바라볼 때도 ‘좋아하는구나, 그리워하는구나’ 하고 알아채게요. 그게 한편으로는 두렵기도 해요. 자칫 고급스럽지 않고 과한 연기로 비칠 수 있거든요. 그런데 개인적으로 드라마는 시청자가 보기 쉬워야 한다고 생각해요. 볼 때마다 돈을 내고 티켓을 사야 하 는 매체가 아니니까요.
첫 회를 볼 때 각자 나름의 걱정을 안고 있었겠네요. 윤시윤 그렇죠. 대화로 치면 농담이 아니라 되게 진지한 대화를 하는 드라마인데, 그 와중에 상대가 지루하지 않았으면 하는 딜레마가 있거든요.
서경과 도원이라는 캐릭터를 어떻게 이해하고 접근했나요? 경수진 A 세계의 서경(이하 A 서경)은 힘든 일이 있었지만, 늘 자신을 지켜주는 키다리 아저씨 같은 도원 덕분에 건강한 감정을 가지고 있어요. 반대로 B 서경은 그런 존재가 없어서 더 외롭고 복수로 가득한 혼자만의 삶을 살고요. 결국 서경에게 가장 중요한 인물은 도원이에요. 그가 있느냐 없느냐에 따라 두 세계의 서경에게 많은 변화가 있거든요. 그 지점을 놓치지 않으려고 했어요. 윤시윤 도원 역시 마찬가지로 서경이라는 존재가 중요해요. 서경을 지키고 보호하면서 오히려 위로받고 치유받는 것이 A 세계의 도원의 삶이라면, 그런 존재를 만나지 못한 것이 B 세계 도원의 삶이에요.
드라마는 두 주인공이 같은 날 각각 아빠의 죽음을 목격하는 것으로 시작해 시간이 흘러 연쇄살인 사건을 추적하게 돼요. 서경은 어린 시절 이복 오빠에게 성추행을 당하는 일도 있었고요. 이런 사건을 마주하는 건 연기라 해도 쉽지 않은 일이에요. 실제라면 살면서 절대 경험하고 싶지 않은 일이니까요. 경수진 맞아요. 연기하면서 마주하고 싶지 않은 순간도 많아요. 그렇지만 배우로서 경험하지 못한 것에 대한 호기심이 더 큰 것 같아요. 윤시윤 오히려 두렵고 마주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더 연기에 도움이 되기도 해요. 사건에 얼마나 몰입해 실제적으로 표현할 수 있을지 생각하는데, 작품 속에서 이어지는 사건이 흔히 겪는 일은 아니지만 익숙한 공포를 불러오거 든요. 살인이나 성추행 같은 범죄가 사실 현실적인 일이잖아요. 그래서 억지로 두렵고 무서운 상황이라고 상상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몰입할 수 있었 어요. 경수진 맞아요. 평소에 실제 범죄 사건을 다루는 시사 프로그램을 즐겨 보거든요. 보면서 저런 사건이 드라마나 영화의 소재가 되겠다는 생각을 하면서도, 한편으론 나도 저런 일을 당할지도 모른다는 두려움을 느끼거든요. 사건을 마주하는 검사(B 세계에서는 형사) 역이지만 그런 감정을 억지로 배제하지 않고 연기에 담아내려고 해요.
연기를 위해 모티프로 삼은 작품이나 캐릭터가 있나요? 경수진 감독님과 작가님이 B 서경을 연기할 때 참고하길 바라는 캐릭터들이 있었어요. 드라마 <터널>의 ‘신재이’(이유영)와 넷플릭스 오리지널 <킬링> 시리즈의 여자 캐릭터들 얘기를 해서 이 작품을 보고 방향을 잡았어요. 두 작품의 캐릭터와 비교하면서 서경을 바라봤죠. 윤시윤 저는 레퍼런스를 대단히 중요하 게 생각해요. <지붕 뚫고 하이킥!>의 ‘준혁 학생’ 때도 연기의 맥을 못 잡고 있을 때 감독님께서 황순원 작가의 <소나기>에 나오는 소년이 모티프라고 하셨어요. 그 소설을 다섯 번 정독하고 소년을 따라 하다 보니 욕을 안 먹게 되더라고요. 어떤 역할을 만들 때 첫 단계는 누군가를 따라 하는 거라고 생 각해요. 그래서 항상 모티프를 찾는데, 이번에는 영화 <맨 온 파이어>에서 ‘크리시’ 역을 맡은 덴젤 워싱턴의 연기에서 착안했어요. 삶의 질감이 딱딱하고 건조한 사람이 작고 따뜻한 존재로 인해 같이 말랑해지거든요. 그게 모티프였죠.
이 작품이 결국 하고자 하는 얘기가 있다면, 무엇일까요? 경수진 순간의 선택에 따라 세계가 바뀌는 내용이잖아요. 저는 이 작품을 통해 선택에 대해서 생각하게 됐어요. 배우라는 직업을 택하지 않았다면 어떤 세계가 펼쳐 졌을지 상상하게 되더라고요. 실제 제 삶과 배우 경수진의 삶은 굉장히 다르거든요. 그 두 세계에서 어떤 선택을 어떻게 하며 살아야 할지, 더 단단하게 두 가지 삶을 유지해야 하는지 고민하고 있어요. 드라마를 보는 분들도 내 삶에서 ‘선택’이라는 행위의 의미를 되새겨보는 것도 좋지 않을까 해요.
실제로 일상과 배우의 삶, 두 세계를 오가고 있다고 생각하는 건가요? 경수진 저는 그래요. 많이 다르거든요. 실제 저는 작고 소소한 것에 즐거움을 느낀다면 배우일 때는 어떤 일을 하든 훨씬 막중한 책임감을 가지게 돼요. 그래서 반대로 일상에서 느끼는 작은 성취감을 놓치지 않으려고 하고요. 윤시윤 이런 점에서 수진 씨가 부러워요. 사실 저는 자신을 희생하고 접어두면 서 연기에 모든 걸 쏟아부었거든요. 연기 이외에 다른 내가 없었어요. 그래서 큰 성취감을 느낄 때도 있었지만, 배우라는 직업은 그게 한 달에 한 번 찾아올지 10년 후에 다시 찾아올지 모르는 일이거든요. 그런데 삶은 언제 올지 모르는 큰 성공을 기다리기보다 작은 성취를 여러 번 얻음으로써 더 단단해지잖아요. 그런 면에서 수진 씨가 저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사는 것 같아요.
일과 삶을 분리하는 방식과 달리 비슷한 점도 있을까요? 윤시윤 기본적인 성향은 비슷해요. 그래서 이번 작품에서 처음 만났는 데도 어렵지 않게 가까워질 수 있었어요. 경수진 대화가 워낙 잘 통해서 친해지는 과정이 필요 없었어요. 진지할 땐 한없이 깊은 방향으로 빠져들다가도 또 둘 다 능청스러운 면이 있어서 장난도 잘 쳐요.
About the Author: suzy violet
관련 글
-
editor suzy violet